public class Exam_03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) {
byte a = 10;
short b = 32767;
a=70;
char c = 'A'+5;
System.out.println(a);
System.out.println(c);
// c에는 'A'에 해당하는 수 65가 들어있었고, 거기에 5가 더해져 지금은 70이 됨.
// 그리고 70에 해당하는 문자코드값인 F가 출력이 됨.
int d = 1000000000;
long e = 10000000000L;
// int에 벗어나는 정수를 사용하고자 할때는 숫자 뒤에 L(l)을 붙여준다.
float f = 5.12F;
double g = 3.14;
// double에서 벗어나는 실수를 사용하고자 할때는 숫자 뒤에 F(f)를 붙여준다.
boolean h = true;
// boolean은 참 or 거짓만 들어갈 수 있다. true, false
//int와 boolean을 주로 사용하게 됨
//여기까지가 기본형 변수
//아래부터 참조형 변수
String i = "Hello Java";
//String : 문자열 저장하는 변수
//byte수가 중요한게 아니라 자료형이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의 대소관계가 중요함.
//실수형은 항상 정수형 보다 크다.
//float은 long보다 크다.
//String은 long보다 크다.
/*
기본형변수의 특징
-사이즈가 고정되어있다.(불변)
-사이즈가 작다.
참조형변수의 특징
-사이즈가 가변적이다.
-사이즈가 엄청 작을 수도 있지만 엄청 클 수도 있다.
*/
}
}
Comment